Modern China (2)

경희사이버대학교 배재석교수님 강의 내용 정리 (12차시 2강)

중국 현대의 정당과 사회단체 및 농 • 공업 및 교육과 과학기술

01 / 정당과 사회단체

중국공산당

중국 공산당은 1921년 7월에 창설, 현대 6,600여만 명의 당원을 확보, 일선조직도 350여만 개에 달함.

  • 1921년 ~ 1949년: 중국 공산당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세움.
  • 1956년: “사회주의 개조”운동을 펼쳤으나 경험 부족으로 몇 가지 착오
  • 1966년 ~ 1976년: 1966년 ~ 1976년 10년간 “문화대혁명”이라는 과오를 저지름.
  • 1976년 10월: “문화대혁명”이 종결
  • 1978년 말: 중국공산당 제11기 3중전회(삼중전회 : 제3차 중앙위원회 전체회의)를 계기, 중국은 건국 이후 가장 역사적 대 전환점을 맞음
  • 1979년: 떵샤오핑(鄧小平)이 제창한 개혁 개방 정책을 실시하면서 눈부신 발전을 이룸

중국공산당의 중앙조직은 당의 전국대표대회, 중앙위원회, 중앙정치국,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중앙서기처, 중앙군사위원회와 중앙기율검사 위원회로 구성됨.

당의 전국대표대회는 5년마다 한번 열리고, 전국대표대회 폐회기간에 는 중앙위원회가 중국 공산당 최고 지도 기관임.

민주당

  • 중국에는 중국 공산당 외에 민주당파라고 불리는 8개 정당이 있는데, 중국국민당혁명위원회, 중국민주동맹, 중국민주건국회, 중국민주촉진회, 중국농공민주당, 중국치공당, 구삼학사, 대만민주자치동맹이 여기에 포함됨.
  • “함께 공존하고, 상호 진심으로 대하며, 상호감독하고, 영욕을 함께 하는 것”을 협력의 기본방침으로 삼음.
  • 민주당파는 야당도, 반대당도 아닌 참정당(參政黨)임.
  • 8개 민주당파의 기본 상황
8개 민주당파의 기본 상황

8개 민주당파의 기본 상황

사회단체

  • 중국에는 수많은 사회단체가 있음.
  • 헌법과 법률에 의해 독자적 활동을 전개함.
  • 주요 사회 단체의 기본 상황
주요 사회 단체의 기본 상황

주요 사회 단체의 기본 상황

02 / 국민경제의 발전

  •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기 전 중국은 근 5억의 인구와 960km2 의 국토, 면사 44만 5,000톤, 면포 27억 9,000만 미터, 원탄 6,188만톤, 면화 84만 9,000톤으로 대규모 경제 건설을 추진
  • 이후, 50년이 지난 오늘 중국은 1953년부터 2000년까지 9차례에 걸쳐 5개년 계획을 실시 견실한 기초를 마련하였으며, 2002년 GDP는 10조 위엔을 넘었으며 경제 성장률은 8%에 달했음.
중국 GDP 성장 약도

중국 GDP 성장 약도

3단계 발전 전략: 1987년에 내놓은 중국 경제건설 3단계

  • 1단계 목표 : 국민총생산(GNP)을 1980년의 2배로 증가시켜 국민의 의식문제 해결
  • 2단계 목표 : 20세기 말에 GNP를 1980년의 4배로 증가시키는 것
  • 3단계 목표 : 21세기 중엽에 현대화를 기본적으로 실현하고 GNP를 중등선진국의 수준에 도달케 하며 국민들의 생활이 비교적 부유하게 하는 것

“제10차 5개년”계획

  • 996-2000년까지 시행된 9 • 5계획은 큰 성과를 거둠
  • 10 • 5계획 기간(2001-2005)동안 중국 국민 경제와 사회발전의 목표
  • 효율적인 경제 구조조정 실시
  • 연 평균 7%내외의 경제 성장률을 유지하며 2005년까지 2000년 가격을 기준으로 GDP는 12조 5,000억 위엔, 1인당 GDP는 9,400위엔을 달성, 물가안정과 국제 수지 균형을 유지한다.
  • 산업구조를 고도화하여 국제경쟁력을 높인다.
  • 2005년까지 사회연구와 개발비용을 GDP의 1.5%이상까지 높여 과학기술혁신 능력을 제고하고 기술발전을 촉진한다.
  • 인구 자연증가율을 9%이내로 유지, 2005년까지 총 인구를 13억 3,000명 이하로 억제한다.
  • 도시주민의 1인당 가처분 소득과 농촌주민의 1인당 순수입을 연평균 5%정도씩 증가시킨다.
서부 대개발

서부 대개발

  • “서부가스의 동부 수송” 공사는 “제10차 5개년” 계획의 중점 공사이다. 타림석유가스전의 석유가스파이프 부설을 다그치고 있는 노동자들.
  • 서부 대개발의 표지적 공사인 청장(청해-티베트) 철도가 전면적으로 착공했다.

03 / 농업

농업의 발전

  • 중국의 인구는 세계 총 인구의 1/5을 차지하는데 비해 농경지는 세계 총 경지면적의 7%일 정도로 경지가 부족하지만, 중국의 식량문제는 스스로 해결한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음.
  • 1978년 농촌개혁이 시작된 후, 20여년 동안 중국 농촌개혁은 집체소유제를 중심으로 전통적 체제를 벗어나 과감한 시장 지향형 개혁을 추진한 결과 시장경제 속에서 새로운 발전 모델을 마련함.
  • 주요 농산물 생산량의 증가 약표
주요 농산물 생산량의 증가 약표

주요 농산물 생산량의 증가 약표

향진(鄕鎭) 기업

  • 향진기업이란 농촌에 세운 기업으로, 농촌 개혁과 농촌의 과학기술 발전으로 생산력이 크게 제고되었고 잉여노동력이 생겨나면서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전국 각지에서 높은 판매실적으로 올리고 있음.
  • 공업, 농업가공, 교통운수업, 건축업, 상업, 요식업, 서비스업 등을 포함함.

04 / 공업

공업의 발전

  • 20세기 후반 50년 동안의 발전에서, 개혁개방이후 중국의 공업은 고속의 성장을 유지
삼협공사

삼협공사

  • 삼협공사 감제 고지인 단자령에서 내려다 본 공사장
  • 주요 공산품 생산량의 증가 약표
주요 공산품 생산량의 증가 약표

주요 공산품 생산량의 증가 약표

에너지 산업

  • 중국의 공업분야에서 화력발전•수력발전 원자력발전을 포함한 전력공업은 발전이 가장 빠름. 발전설비용량과 발전량 모두 세계 2위
  • 송전망 건설도 역사상 가장 빠른 발전 서북지역을 제외, 6개 송전망과 5개 독립적인500kV 간선 송전망 건설, 일련의 대형 발전소 조업
  • 중국의 석탄수출 : 역시 2002년 8000만톤 이상:세계 2위

기계공업과 자동차공업

  • 중국 기계공업의 발전으로 대형 가스 터빈, 대형 양수 발전 설비, 원자력 발전 유니트 등 발전 설비와 초고압 직류 송전 및 변전 설비, 대형 야금, 화학 비료, 석유 화학 플랜트 설비, 도시 교통 설비, 신형 제지 및 방직 기계 등 고수준의 대형 플랜트 설비로 각 업계 발전을 촉진
  • 2002년 전국 자동차 생산량 : 351.1만대로 승용차가 100만대를 넘어 109.2만대로 역사상 최고치 기록

석유화학공업

  • 1999년 석유 일차 가공능력은 차 2억 7,000만톤, 원유가공은 1억 7,600만톤, 휘발유, 석유, 중유 3대류 유제품의 생산량 , , 은 1억 50만톤으로 국내시장의 수요를 기본적으로 충족
  • 현재 중국의 석유 일차가공 능력은 세계 3위, 에틸렌, 합성수지 생산능력은 5위, 합성 고무 생산능력은 세계 4위, 합성섬유는 세계 제 1위임.

05 / 교육사업

고등교육

개혁을 계속 진행, 1993년 “세계 일류대학 100개 육성 프로젝트” 시작 이래 10년 동안 708개의 고등 교육 기관이 302개로 병합 종합적 고등 교육 기관 탄생

  • 신입생 규모도 계속 확대되어 1999년 160만명, 2002년 320만명, 2003년 335만명, 과학연구원을 포함한 대학원은 21만 7,000명을 모집
  • 과학연구수준이 현저히 제고, 현재 22개 대학 내 국가대학 과기원이 신기술 성과의 산업화에 주요 전초기지가 됨.

국가계획

  • 1980년대 이후 정부는 과학기술 연구발전에 관한 총체적 프로젝트 목적 – 21세기 국가의 종합 과학 기술 경쟁력을 전략적으로 제고
  • 과학기술 연구 도전 프로젝트, 863프로젝트, 973프로젝트 – 국가 과학기술 프로젝트의 뼈대
  • 화거계획, 성화계획 – 과학 기술 역량의 향상에 중요 역할
  • 국가 과학 기술 연구 도전 프로젝트: 1982년에 시작, 20세기 중국 최대의 과학 기술 프로젝트로 국민 경제와 사회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이고 종합적인 문제들 해결 위해 출범 농업, 전자 정보, 에너지, 교통, 자원탐사, 환경보호, 의료 위생 등 광범위한 영역 : 1,000여 개 과학 연구소의 수 만 명의 과학자들이 공동 참여
  • 863 프로젝트: 1986년 3월 수백명의 과학자들의 논증을 거친 현대 과학 관념의 뼈대를 이루게 되는 구상-“신기술 연구 발전 프로젝트”출범 현대 바이오, 우주항공, 정보, 레이저, 자동차, 에너지, 신소재, 해양의 8개 영역의 20개 주제: 연구 성과가 신속히 산업화 될 수 있다는 특징

06 / 과학기술

국가계획

  • 973 프로젝트: “국가 핵심 기초 연구 발전 계획” 은 1998년 수립 실시되어 농업, 에너지, 정보, 자원환경, 인구와 건강, 소재 등 영역과 관련한 주요 과학기술 문제에 대해 여러 학문의 종합적 연구를 진행하며 문제 해결의 이론적 근거와 과학 기초를 제공
  • 화거 계획 (火炬計劃: 횃불 프로젝트): 중국에서 가장 중요한 신기술 산업 프로젝트로서 1988년 8월 가동되기 시작 – 첨단 기술을 요하며 국내외 시장성과 경제 효율이 높은 신기술 제품의 개발 프로젝트를 수립, 실시 – 전국에 신기술 산업 개발 단지를 모색 – 신기술 산업 발전에 부합하는 관리 체제와 운영 매커니즘을 모색
  • 성화 계획 (星火計劃: 별똥별 프로젝트): 1986년에 시작,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해 농촌 경제를 발전시키고 농촌에 과학 기술을 보급하며 농민의 부를 창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국 농촌 85% 이상 지역에서 10여 만 개의 과학기술 시범 사업이 실시되고 있음.

Modern China (1)

경희사이버대학교 배재석교수님 강의 내용 정리 (12차시 1강)

중국의 현대: 인구와 민족, 정치제도와 국가기구

01 / 인구와 민족

중국은 전세계에서 인구가 최대

2010년 말 기준 – 중국 총 인구:13억 3천 8백만명 (홍콩 특별 행정구, 마카오 특별 행정구, 타이완성 제외)

남녀의 성비: 100(여자) : 120 (남자) – 농촌이 더 심각

1) 인구증가

  •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당시 중국의 총 인구: 5억 4, 167만 명
  • 1970년부터 산아제한정책실시- 2002년 12.86%까지 하락
  • 현재 중국의 인구성장의 특징:“저출산, 저사망, 저성장”
  • 2001년 3월 제9기 전인대(전국인민대표대회) 4차 회의 때 채택한 “국민 경제와 사회발전을 위한 제 10차 5개년 계획 강령” – 2005년:13억 3천, 2010년:14억 초과하지 않도록 방침

2) 산아제한

중국정부는 산아제한 정책을 중요한 기본 국책의 하나로 삼아 국가 주도하에 국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토록 유도

  • 결혼과 출산 시기를 늦추고 적게 낳아 잘 기르도록 함.
  • “한 가정 한 자녀 갖기”를 기본 정책으로 농촌지역, 특히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은 첫째를 낳고 나서 몇 년 후 둘째를 가지도록 함.
  • 소수민족자치 지구에서는 각 민족의 개인적인 희망사항과 인구, 자원, 경제, 문화, 풍습 등 구체적 상황에 따라 차별적 시행. 즉 일반적으로 두 자녀를 낳을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어떤 지역에서는 세 자녀를 가능. 인구가 극히 적은 소수민족 – 자녀 수 제한하지 않음.
  • 산아제한 정책의 실시로, 결혼 후 따라오는 막중한 가사 및 육아 부담 감소, 모자 보건의 수준도 크게 향상시키고 있음.

3) 56개 민족

  •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
  • 한족이 전체 인구의 91.6% 차지하여, 편의상 나머지 55개 민족을 소수민족”이라 함
  • 2000년 5차 센서스 자료에 따르면 55개 소수민족 중
  • 인구 100만이 넘는 민족 : 쫭족(壯族), 만족(滿族), 회족(回族), 묘족(苗族), 위구르족(維吾爾族), 이족(彛族), 투쟈족(土家族), 몽골족(蒙古族), 장족(藏族), 부이족(布依族), 뚱족(侗族), 요족(瑤族), 조선족(朝鮮族), 바이족(白族), 하니족(哈尼族), 리족(䊍族), 카자흐족(哈蕯克族), 따이족(傣族) 등 18개 민족이 있으며, 그 중 쫭족이 1617.9만 명으로 가장 많음.
  • 인구가 10만~100만 사이인 민족: 써족, 리수족, 게르족, 라구족, 뚱샹족, 와족, 수이족, 나시족, 챵족, 투족, 시버족, 미로족, 키르기즈족, 다우르족, 징퍼족, 싸라족, 모난족 등 17개
  • 인구 1만 미만~10만인 민족: 부랑족, 타지크족, 푸미족, 아창족, 누족, 어원커족, 징족, 지노족, 러시아족, 유고족, 보안족, 먼바적, 오로죤족, 두룽족, 타타로족, 허저족, 고산족, 로바족 등 20개 민족인데, 그 중 로바족은 3,000명이 채 안되어 인구가 가장 적음.
  • 5개 자치구: 네이멍구자치구(內蒙古自治區) 신쟝위구르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 광시쫭족자치구(廣西藏族自治區) 닝샤회족자치구(령하회족자치구) 티베트자치구(서장자치구)
  • 30개 자치주
  • 120개 자치현
  • 1,300여 개의 민족향
  • 민족구역자치: 각 민족의 평등 • 단결 및 공동번영을 실현하는 것은 중국 정부가 민족관계를 처리하는 기본원칙 즉, 국가의 통일적 영도 하에 소수민족 집거 지역을 기반으로 상응한 자치기관을 설립하여 자치권을 행사, 소수민족 자신이 주인이 되어 본 민족 내부의 지방사무를 관리하는 것
  • 1984년 제 6 기 전인대 제2차 회의에서 채택한 <소수민족 지역 자치법>이 그 기본법

02 / 정치제도와 국가기구

1) 헌법 및 법률체계

  •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후, 1954년, 1975년, 1978년, 1982년(현행현법) 모두 4차례에 걸쳐 헌법이 개정됨.
  • 현행 헌법에는 전문외에 총칙, 국민의 기본 권리와 의무, 국가기구, 국기, 국장, 수도 4장 등 전체 138조로 구성
  • 1988, 1993, 1999년에 전인대는 헌법 수정안을 통과 시켜 현행 헌법의 개별조항과 일부 내용을 수정
북경인민대회당

북경인민대회당

북경인민대회당

북경인민대회당

2) 인민대표대회 제도

  • 중국에서 모든 권력은 국민에게 속함.
  • 국민이 국가권력을 행사하는 기관은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지방 각급 인민대표대회임.
  • 기본적 특징 : 광범한 대표성을 띠며, 국민의 국가를 관리하는 기본형태
  • 각급 인민대표회의의 대표는 선거에 의해 선출, 국민에 대해 책임지며, 국민의 감독을 받음.

3) 국기 • 국장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국기는 5성 붉은기임.
  • 중앙인민공화국 국장은 중앙에 5성이 비치는 천안문도안이 있고 그 주위에 곡식이삭과 톱니바퀴 무늬가 둘러져 있음.
  •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는 원래 곡명이 “의용군 행진곡”이었고 시인 전한(田漢)의 작사, 음악가 섭이(聶耳)의 작곡으로 1935년에 만들어짐.
국기 및 국장

국기 및 국장

4) 국가기구체계

  • 국가권력기관 : 전인대와 지방의 각급 인민대표대회
  • 국가주석
  • 국가행정기관 : 국무원과 지방각급 인민정부
  • 국가군사지휘기관 : 중앙군사위원회
  • 국가재판기관 : 최고인민법원, 지방 각급 인민법원, 전문인민법원
  • 국가감찰기관 : 최고인민검찰원, 지방 각급 인민검찰원, 전문인민검찰원

5) 전국인민대표대회

  • 전국인민대표대회: 전인대는 국가최고권력기구로 성, 자치구, 직할시, 특별행정구와 인민 해방군에서 선출한 대표들로 구성, 국가의 입법권을 행사하며, 국가정치의 중대 문제를 결정함.
  • 전인대의 주요직권: 헌법개정, 헌법시행감독, 형사와 민사 국가기구 및 기타 기본 법률의 제정 및 수정 책임 국민 경제 및 사회발전계획, 계획의 집행 현황, 국가 예산, 예산 집행현황에 대한 보고서를 심의, 비준 성, 자치구, 직할시의 설치를 비준, 특별행정구의 설립 및 관련제도를 결정 전쟁 및 평화에 관한 문제를 결정 최고 국가 기관의 지도자, 즉 전인대 상무위원회 위원을 선출, 국가주석과 부주석을 선출, 국무원 총리와 기타 구성원을 인선을 결정함. 또 최고 인민 법원장과 최고 인민 검찰장을 선출하며 이들을 직위 해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짐.

6) 국가주석

  •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은 전인대 상무위원회와 함께 국가주석으로서의 직권 행사
  • 전인대 혹인 전인대 상무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법률을 공포하고, 국무원 구성원을 임면(任免)하며 명령 발포
  • 국가를 대표하여 외국 사절을 접견하고 해외주재 전권대사를 파견하거나, 소환하며, 다른 나라와 체결한 조약이나 주요 협정을 비준하거나 폐기
  • 현임 국가주석은 후진타오(胡錦濤)이며 부주석은 쩡칭홍(曾慶紅)임.

7) 국무원

  • 국무원, 즉 중앙인민정부는 국가 최고 행정기관
  • 전국인민대표대회 및 그의 상무위원회가 제정한 법률과 채택한 결의를 집행, 전국인민대표대회 및 그의 상무위원회에 대해 책임을 지고 사업을 보고
  • 국무원은 총리, 부총리, 국무위원, 각 부 부장, 각 위원회 주임, 회계 검사장, 비서장으로 구성
국무원

국무원

8) 중앙 군사위원회

  • 국가의 군사 지휘 기관으로 전국의 무장력 통솔함. 중국의 무장력은 중국인민해방군, 중구인민무장경찰부대, 민병으로 구성됨.
  • 인민해방군은 국가의 상비군, 무장경찰부대는 국가가 부여한 안전보위임무를 담당, 사회질서를 유지
  • 민명은 생산을 이탈하지 않는 대중무장조직이고, 현임 주석은 강택민임.

9) 지방 각급 인민대표대회와 인민정부

  • 국가는 현행 행정구획을 단위로 성(자치구, 직할시), 현(시), 향(진) 각급 인민대표대회(현급 이상의 인민대표대회는 상무위원회를 설립)와 인민 정부를 설립

10) 인민법원

  • 인민법원은 국가의 재판기관
  • 국가에는 최고인민법원을 설립하고 각 성, 자치구, 직할시에는 고급 인민 법원을 설립하며 그 밑에는 중급인민법원과 기층 인민법원이 있음.
  • 인민법원의 사건심리는 국가의 기밀, 개인의 사생활, 미성년자 범죄를 제외하고는 재판과정을 전부 공개함.

11) 인민검찰원

  • 국가 법률 감독 기관으로 인민법원의 체제와 동일함.
  • 인민검찰원은 검찰권을 행사함으로써 그 임무를 수행함. 법에 따라 독립적으로 검찰권을 행사하며, 행정기관이나 사회단체, 개인의 간섭을 받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법률을 적용함.

Chinese Culture (Music)

경희사이버대학교 배재석교수님 강의 내용 정리

중국 음악

01 / 중국 음악의 흐름

원시시대 (~기원전 1500년)

  • 시가, 춤, 노래의 혼합형식
  • 자연과 조상에 대한 존경을 표현
  • 복희씨의 금슬 발명, 황제의 음률 제정

상(商)

제사의 가무와 악기 존재 ☞ 갑골문, [사기 은본기]의 기록 이미 음악예술 활동이 활발

주(周)

  • 전례(典禮)를 위한 아악체계 정립
  • 공자 : 음악을 아성(雅聲)과 정성(鄭聲)으로 구분하고, 아악을 유가의 예악으로 삼았다.
  • 악무(樂舞)가 소박한 민간예술에서 웅장한 궁정음악으로 변모 -> 육대악무(六代樂舞) 등
  • 민가 대량 출현 ▷ [시경]
  • [관자(管子)] : 五聲을 최초로 기재
  • [여씨춘추] : 십이율 최초로 기재
  • 최초의 음율 계산법 “삼분손익법” 고안
  • 십이율의 명칭 확정
  • 악기 발전

진(秦)

  • 진시황의 통일 정책에 따라 악제가 변경되거나 폐지되었다.
  • 분서(焚書)와 악기의 훼손

한(漢)

  • 아악이 황제와 국가의 권위와 정통성을 대표하는 상징이 됨.
  • 周의 의식제도와 공자의 음악관을 기초로 대규모로 음악적 체계 완성
  • 속악 흥기 시작 : 민가, 가무희
  • 북방 유목민족과 서역의 음악과 악기가 대량으로 중원에 전입

남북조

  • 외래음악의 대량 유입으로 아악 위축
  • 북조 : 북적(北狄)과 서역의 음악이 성행 남조 : 아악, 속악의 전통을 유지. 불교와 함께 인도 음악이 궁중음악에 영향

수당

  • 아악 제창, 민간음악과 외래음악 배척
  • 중국 고유음악과 외국음악이 융합되면서 연악 번창
  • 호악과 속악이 융합된 순 오락성, 혹은 순 예술성의 호속악 유행
  • 악기 300종
  • 가요의 발달

  • 복고(復古)주의로 인해 새로운 발전이 없었다.
  • 도시발달과 더불어 속악 성행 ▶ 설창(說唱)과 희곡(戱曲)

  • 잡극 발전
  • 산곡(散曲)(민간에서 유행한 가곡의 총칭) 성행

  • 아악과 속악의 혼합
  • 속악, 특히 희극음악이 상당한 발전
  • 위량보 : 곤산강을 개량하여 명대 전기를 주도 ▶ 崑曲

  • 아악 대규모 제정
  • 속악 : 명대 곤곡 이후 이황과 서피가 경희(경극)로 형성되어 유행
  • 음악방면에서 진정으로 서양음악을 받아들인 것은 민국 1911년 이후로, 서양음악을 “夷部樂”이라고 불렀다.

02 / 중국 음악의 악기

중국은 악기를 발음체의 물질 종류를 근거로 八音으로 분류

  1. 금(金) 종(鐘),령 (鈴)
  2. 석(石) 경(磬)
  3. 토(土) 훈(塤)
  4. 목(木) 축, 어(敔)
  5. 죽(竹) 관(管), 소(蕭), 적(笛)
  6. 사(絲) 금슬(琴瑟)
  7. 혁(革) 고(鼓)
  8. 포(匏) 우(芋), 생(笙)

금(金) : 종(鐘), 령(鈴)

고대에 종은 악기의 역할 뿐만 아니라 지위와 권력의 상징이다. 종의 정면과 측면을 치면 소리가 다른데 고대사람들은 종의 두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소리높이를 조절하였다. 연주 시 가름대에 걸어서 연주한다.

금(金) : 종(鐘), 령(鈴)

금(金) : 종(鐘), 령(鈴) - 鐘, 編鐘

석(石) : 경(磬)

돌 또는 옥으로 조각하였는데 가름대에 걸어서 다른 물체로 쳐서 소리를 낸다. 商시기에 이미 단일한 “특경(特磬)”이 있었고 周에는 십여 개의 대소로 조를 이룬 “편경(編磬)”이 있었다.

[경(磬)]

경(磬)

토(土) : 훈(塤)

  • 점토로 제조하여 도훈(陶塤)이라고도 하며, 돌, 뼈 혹은 상아로 만든 것도 있다.
  • 구형과 타원형.
  • 소리구멍은 하나에서 서너 개로 다양

[훈(塤)]

훈(塤)

죽(竹) : 관(管), 소(蕭), 적(笛)

[소(簫)] [적(笛)]

소(簫), 적(笛)

사(絲) : 금슬(琴瑟)

  • 호금(胡琴)이나 양금(洋琴)과 구분하기 위해서 칠현금(七絃琴) 이라고 하다가, 최근에는 고금(古琴)이라고 부른다.
  • 순(舜)때 이미 오현의 금(琴)이 있었고, 주(周) 문왕과 무왕이 각각 문현과 무현을 한 줄씩 더하여 칠현의 금이 되었다.
  • [상서]와 [시경]등에 많은 기록이 있는 오래된 악기

[고금(古琴)]

고금(古琴)

월금(月琴)

  • 당대(唐代) 사용
  • 왼손으로 현(弦)을 누르고 오른손으로 편을 쥐고 연주한다.
월금(月琴)

월금(月琴)

양금(揚琴)

  • 사부(絲部)에 속하는 현악기.
  • 4각의 나무판에 철로 된 현(絃)을 얹은 악기로, 철현을 대나무 껍질로 만든 작은 채로 켜서 소리를 낸다.
  • 원래 회교음악에 사용하던 악기였는데, 십자군원정 기간에 유럽에 전파되어 중세 이후 유럽 각국에 널리 보급되었다. 그 뒤 선교사가 중국에 들어오면서 이 악기를 휴대해옴으로써 중국에 처음 소개되었다.
양금(揚琴)

양금(揚琴)

호금(胡琴)(二胡)

  • 元때 몽고를 통해 들어온 회교도 민족의 악기로 胡弓이라고도 한다.
  • 말꼬리로 만든 활을 줄 사이에 끼워 찰주(擦奏)한다.
호금(胡琴)(二胡)

호금(胡琴)(二胡)

혁(革) : 고(鼓)

  • 통에 가죽을 씌워 만든 악기로서 분류상 혁부에 속함.
  • 북통의 크기와 위치, 연주 방법에 따라 약 30여 가지의 변형고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고(鼓)]

고(鼓)

포(匏) : 우(芋), 생(笙)

[우(芋)], [생(笙)]

우(芋), 생(笙)

고유악기와 외래악기

  • 원시시대-위진 : 종(鐘), 경(磬), 금(琴), 슬(瑟), 생(笙)
  • 남북조, 수, 당 : 박판(拍板), 방향(方響)

외래악기

  • 한대 : 비파(琵琶), 공후 ▷ 이란 계통
  • 원대 : 삼현(三絃), 호금(胡琴) ▷ 회교도 민족의 악기, 元,明희극음악의 중요 악기

03 / 중국 희곡

1) 희곡의 기원

  • 고대의 巫覡 : 무격이 神의 모습으로 분장하고 춤추고 노래하는 행위가 배우의 시작이다.
  • 전국시대 楚의 優孟 : 손숙오의 아들로 분장하여 楚王에게 아들을 도와줄 것을 풍자
  • 서역에서 유래
  • 주 방상씨(周方相氏) (장례행렬의 앞에서 탈을 쓰고 악귀를 쫓는 사람)

2) 선진의 우령(優伶)

  • 연예인의 총칭하다가, 이후 희극배우를 지칭
  • 유창한 화술과 번뜩이는 기지로 군주나 제후들에게 즐거움을 주면서, 날카로운 풍자로 간언

倡優 → 춤과 노래를 관장하는 사람

伶優 → 음악을 관장하는 사람

排優 → 해학적 표현을 위주로 하는 사람

3) 한 백희(漢百戱)

  • 散樂. 한대 민간에서 연출된 각 종 오락의 총칭
  • 呑刀(탄도) : 칼 삼키기 / 吐火: 불 뿜어내기
  • 강정 : 무거운 것 들기
  • 충협 : 칼이 꽂혀 있는 좁은 장애물 통과하기
  • 각저희 : 머리에 뿔이 난 치우가 황제와 다투는 내용을 형용한 치우희에 연원을 둠
  • [동해황공] : 황공과 호랑이로 두 명이 분장. 노래와 춤으로 이야기 진행

4) 남북조 가무희

  • 노래와 춤으로 줄거리를 연출하는 희극
  • 대표작 : [난릉왕진입곡] [발두] [답요낭]
  • 당대에 성행
  • 난릉왕의 가면은 경극의 얼굴 분장의 전신

5) 당대 참군희

  • 참군 : 위진 때 관직명. 당대에는 소형 笑劇의 명칭
  • 참군과 창골 두 배역이 탐관오리를 희롱하는 내용
  • 대화와 노래, 음악반주
  • 참군 : 놀림을 당하는 우둔한 성격
  • 창골 : 기지가 넘치고 약삭빠른 성격. 참군을 때리고 희롱하여 관중의 웃음을 야기

6) 송대 희곡

  • 잡극 : 당대 참군희가 발전한 것으로 해학적 내용을 낭송과 대화로 표현하면서 간혹 가무를 삽입
  • 괴뢰희 : 인형극
  • 영희 : 피영희. 그림자극
  • 南戱: 戱文. 대본이 전하는 최초의 희극

7) 원대 잡극

  • 송 잡극과 금 원본을 기초로 북방의 음악과 무도 등의 영향을 받아 금말원초에 만들어짐.
  • 4折로 구성, 1折은 같은 궁조의 노래 10여 수.

楔子 (설자)

  • 현대극의 서막과 유사
  • 극의 처음이나 절과 절 사이에 넣어서 극의 발단 역할이나 절과 절의 연계역할을 한다.

8) 명청대 전기

  • 원말 명초의 전기는 송의 남희와 비슷
  • 명 가정년간에 위량보가 ‘곤산강’을 개량하여 곤곡을 만듦.
  • 양진어의 작품 [완사기]가 전국에 유행하면서, 전기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음.
  • 건륭(18C) 이후 점차 쇠퇴하면서 경극이 유행

9) 경극

  • 평극(平劇), 피황(皮黃), 국극(國劇)
  • 명 가정 이후 곤곡은 극성시기를 맞지만, 점차 지나친 수사와 난해함 등으로 인해 일반 대중과 멀어짐.
  • 花部가 진출할 기회가 마련됨.
  • 화부: 雅部인 곤곡에 대립되는 지방희극의 총칭으로 難彈이라고도 한다.
  • 西皮와 二黃위주의 곡에 여러 극의 장점 을 가미한 새로운 곡조인 피황극이 성행.

9-1) 경극의 특징

  • 寫意표현 : 서양 희극이 ‘사실표현’인 반면, 경극은 사실의 의미만을 상징적으로 전달
  • 과장 : 인물조형과 동작이 과장적. 즉 극중인물의 선악과 형상을 뚜렷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모습이나 행동을 과장되게 표현 줄거리의 자유성과 단편성 : 연극시간 제한 없고, 내용도 토막을 내어 연출
  • 戱劇化: 내용이 사실이 아님. 극중의 역사적 인물도 실존 인물이 아닌 경우가 많음.
  • 종합성 : 줄거리, 노래, 춤, 음악, 미술을 모두 포함

9-2) 경극의 각색

  • 생 남자 배역
  • 단  여자 배역
  • 정 얼굴 분장이 화려하고 성격이 특수한 배역
  • 축 얼굴에 흰색 분장을 한 비교적 해학적 연기

9-3) 경극의 검보(瞼譜)

경극의 검보(瞼譜)

경극의 검보(瞼譜)

정과 축이 얼굴에 그리는 울긋불긋한 도안 색깔마다 독특한 인물의 성격을 상징

  • 홍색: 강직하고 다혈질인 관우
  • 흑색: 포청천 같은 엄숙한 인물
  • 흰색: 간계한 성격의 조조
  • 정과 축이 얼굴에 그리는 울긋불긋한 도안 색깔마다 독특한 인물의 성격을 상징
초패왕, 손오공

초패왕, 손오공

9-4) 경극의 가치

  1. 하나의 극 형식, 고루 갖춘 연극 양식
  2. 지방문화의 융합 → 전통문화의 반영
  3. 주제 : 선악 시비를 분명히 가림
  4. 무대 : 시공의 한계 초월, 소도구 활용 → 범위 무한대
  5. 관중들의 상상력 자극

Chinese Culture (Scholarship and Thought)

경희사이버대학교 배재석교수님 강의 내용 정리

중국의 학술과 사상

01 / 학술의 정의

학 문: 모르는 것을 배움으로써 지식을 넓히고 의혹을 푸는 개인적 차원

학 술: 사물을 관찰하여 그 진리를 밝히고 현실에 적용하는 것으로, 개인적이면서 사회적인 차원. 학술은 학문보다 좀 더 큰 개념

중국인의 민족성은 “현실적”

자신만을 위한 공부는 무가치하다고 생각, 공부의 궁극적 목표는 백성을 잘 살게 만드는 것이므로, 중국에서는 학문보다는 학술이란 말을 사용한다.

02 / 중국 학술의 목표, 기초, 정신, 내용

『논어·술이』편에서 공자는 道에 뜻을 두고, 德에 근거하며, 仁을 따르고, 藝에서 노닌다, 라고 했는데 이것을 중국 학술의 목표, 기초, 정신,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 志於道: 목표 최고의 진리인 도(道)를 깨닫고 실천하는 것
  • 據於德: 기초 내재된 덕성과 외연의 덕행에 기초함
  • 依於仁: 타인을 사랑하는 인(仁)의 정신
  • 游於藝: 六藝(즉 六經)의 바다에서 자유자재로 노니는 것

03 / 중국 학술의 시대 구분

  1. 배태(胚胎) 시대 – 춘추 이전
  2. 전성(全盛)시대 – 춘추 말기 및 전국
  3. 유학(儒學)의 통일 시대 – 양한(兩漢)시대
  4. 노학(老學) 시대 – 위진
  5. 불학(佛學) 시대 – 남북조 및 당
  6. 유불(儒佛)혼합 시대 – 송/원/명
  7. 쇠락 시대 – 근 250년 –청말(淸末)

04 / 고대 학술의 전변

1) 고대 학술: 귀족학술 – 왕관지학(王官之學) 어떻게 백성을 다스리고, 사회를 통치할 것인가 (왕의 정치를 도와주는 것)- 예(禮)

2) 선진시대: 제자백가의 학술 사상적 입장 (1) 유가/묵가 – 구제도와 전통 지지 (2) 법가 – 새로운 제도 추구 (3) 도가 – 인위적 제도에 반감

05 / 선진제자의 유파(流派)

1) 선진제자의 유파 (流派)

사마천 <史記> <태사공자서> – 6家

  • 1.음양가 2. 유가 3. 묵가 4. 법가 5. 명가 6. 음양가

반고 <漢書> <藝文志> – 10家

  • 사마천의 6家외에 종횡가(縱橫家), 잡가, 농가, 소설가

중국문화의 특성에 기여한 유파

  • 1. 유가 2. 도가 3. 법가 4. 음양가

2) 선진 제자의 시대구분과 주요사상

2-1) 시대구분

  • 1단계: 공자, 묵자 – 중심과제 禮 / 2단계 맹자 – 仕 / 3단계: 순자, 한비자 – 治

2-2) 주요 사상

정치사상

  • 人治派 유가/묵가, 德과 善政
  • 法治派 법가, 형벌과 제도
  •  無爲之治派 도가, 자연과 자유

06 / 중국 고대 사상

1) 선진 유가 사상

공자

1) 중국 전통문화사상의 계승 및 창신

  • 주대의 인문정신 계승
  • 왕관지학을 백가지언으로 전화
  • 인(仁)의 개념 확충

2) 군자 개념의 변화

  • 덕행이 고결한 선비

3) 인성(人性)에 대한 긍정

  • 긍정적 인간관

맹자

1) 孔子의 [仁] 사상을 계승, 발전

  • 孔子의 [仁]사상을 정치에 사용
  • [仁政]사상은 孟子가 사상가로서 이미 민중의 중요성을 간파했다 는데 그 중요한 의의

2) [性善論]을 주장

  • [仁政]사상의 기초이론이고, 유가학설에 대한 또 하나의 공헌
  • 선과 인성의 관계를 함께 보았는데 인성은 원래 선한 것이라 함.
  • 惻隱之心, 羞悟之心, 恭敬之心, 是非之心

순자

1) 유가의 [禮]에 대해 개조

  • 孔子가 가리키는 것은 周禮이고 荀子가 말하는 것은 전국시대의 禮
  • [禮]와 [法]을 결합- 도덕 제외, [禮]안에 [法]의 내용만이 있다는 것
  • 유가의[禮治]사상에서 법가의 [法治]사상의 과도기

2) [性惡論]을 주장

  • 人之性惡, 其善者僞也.
    • 개인의 욕망이 발전하면 사람들 사이에는 반드시 다툼이 일어나고 사회의 혼란을 조성한다는 것
  • [人定勝天]을 주장
    • 객관적 규율을 인정하고 인간의 주관적 능동작용을 강조하여 孔子와 孟子의 [聽天由命]사상에 의해 큰 발전을 이룩

2) 도가 사상

노자(老子)

1) [道]는 [萬物之宗]을 주장

  • [道]가 세계만물의 본원이자 주재이며 그것은 천지가 생기기 전부터 존재한 것

2) 矛盾對立과 互相轉化주장

  • [道]의 관념에서 출발하여, 세계만물이 변화하는 것이라고 보고 어떤 사물이라도 모두 모순대립과 운동변화 중에 놓여 있다고 봄.

3) 無爲而治, 順其自然주장

  • 사람은 마땅히 양보해야 하고 현재 상황에서 만족하며 적극적으로 나아가지 말고 승리하려고 싸우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

장자(莊子)

  • 차별과 대립을 완전히 부인하고 세상에는 도리를 시비할 수 있는 말이 없다고 여김.
    • 예- 예를 들어 원숭이는 나무 위에서 지내면 매우 편하다고 느끼나 사람은 오히려 위험하다고 느낀다. 반대로 사람은 집안에서 지내면 매우 안전하다고 느끼나 원숭이는 반대로 방안에 갇혀 있으면 매우 견디기 어려워한다.
  • [道]자체는 한계가 없는데 사람이 한계를 만들고 차별을 날조하는 것이 라고 여김.
  • 세상을 인위적이고 투쟁으로 가득 찼으며 짐작하기 어려운 세계라고 봄.
    • 인간이 살아가는 세상을 사격장 같다고 보았다. 어떻게 해야 화살이 맞는 것을 피할 수 있을까? 피하는 방법을 취할 수밖에 없다. 첫 번째는 쓸모 있는 사람을 쓰지 않고 부화뇌동해야 한다. 예를 들어 나무는 크면 클수록 사람에게 해를 당한다. 만약에 크기가 작으면 사용할 수가 없어 서 자신의 생명을 보존할 수 있다. 두 번째는 [無己]인데 반드시 자기를 잊어버리고 모든 것을 벗어나야 한다.

 3) 법가 사상

한비자(韓非子)

  • 하늘에 반대하는 荀子사상의 기초 위에서 老子사상중의 변증법 요소를 비판적으로 받아들여 천명 귀신을 부정하고 인간의 힘을 숭배하여 사물의 객관적인 규율에 따라 일을 처리할 것을 주장
  • 申不害, 愼到, 商등의 전기 법가사상을 종합하는 기초 위에서, [법치]를 중심으로 하는 法, 術, 勢가 서로 결합한 관점을 주장
  • 중앙집권의 봉건 전제정권의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람들의 사상을 통일해야 한다고 주장
  • 선진법가사상에 대한 전면적인 총결과 집대성, 秦始皇을 통해서 법가사상을 정치상의 통치 수단의 최고봉으로 끌어 올림.

4) 그 외 사상

묵가 – 묵자(墨子)

  • [兼愛]는 墨子學說의 핵심, [兼愛]라는 것은 다른 사람과 자신을 동등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것
  • [兼愛]사상에서 출발하여 墨子는 정치상에서 [尙賢], [尙同]을 주장, 재능만 있으면 보통사람도 관직에 있을 수 있고 만약 재능이 없다면 원래 지위가 높은 사람도 마땅히 계급을 낮춰야 함을 주장
  • 墨子의 [天志]논은 모든 것을 [命運]의 관점과 더불어 [非命]의 관점 도 주장. 그는 빈부, 치란, 안위 등은 [力]이 결정한다고 여겼다. 만 약에 [命]을 믿기만 하고 노력을 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고, [天] 은 열심히 노력하는 자를 좋아하고 상을 준다고 여김.

병가 – 孫武, 吳起, 孫

孫武의 《孫子兵法》

  • 춘추 말기와 그 이전의 전쟁 경험을 총결한 것으로서 중국에서 최고 로 오래된 우수한 군사 저작

이외에 [백가쟁명]의 춘추 전국 시기에는 농가, 명가, 음양가, 종횡가 등의 사상학파도 출현

06 / 중국 고대 사상

중국 고대사상 정리

  1. 유가사상은 중국 전통사상의 주요 부분이고 그것은 중국 봉건사회 의 정통 사상으로서 대표성을 띠고 중국과 중국인에게 큰 영향을 미 침.
  2. 도가, 법가, 그리고 기타 학파 사상은 총체적으로 유가사상의 종속 적인 지위에 처해 있었으나 중국 전통사상의 주요 구성 부분이었고 중국과 중국인에게 다른 정도로서 영향을 미침.
  3. 유가, 도가, 법가 등 학파는 주장이 달라서 서로 대립하고 투쟁 동시에 서로 영향을 끼쳤고 서로 받아들여 후에 점점 융합
  4. 중국의 전통사상은 학문이 넓고 깊고 상당히 복잡 – 한 방면으로 많은 정화가 있어서 중국인의 지혜를 개발하고 중국 인의 미덕을 배양하였으며 중화민족의 정신 문명을 창조하였다. 다 른 방면으로는 적지 않은 찌꺼기가 있어서 중국인의 사상을 속박하 고 통치 계급의 이익을 보호하였으며 사회의 진보를 막았다. 이런 연유로 중국의 전통사상을 연구할 때는 주의를 기울여 전체를 이해 하고 종합 분석하며 찌꺼기를 버리고 정화를 취해야 한다.

한대(漢代)의 정치와 사상

1) 한대의 정치사상

  • 교육(敎育)과 인재 중시 선
  • 비들의 정치 참여

2) 정치 사상의 변천 3기

1기: 한고조 : 도가의 황노지학(黃老之學) 성행

2기: 한무제 : 유학 독존/ 법가사상 및 음양오행설

3기: 東漢시대 : 미신 성행/ 유학자들의 비판/ 도가 사상 부활 조짐/ 은일 풍기 성행

07 / 경학흥성의 시대

한대 학술의 정통 : 유술(儒術) – 육예(六藝)와 공자의 학술

금문경학, 고문경학

금문경학, 고문경학

07 / 경학흥성의 시대

경학의 특징

  • 통치자의 요구에 부합하여 孔孟학설을 주로 하고 기타 봉건통치에 유리 한 사상을 받아들이고 봉건통치학설을 주장
  • 유가경전을 정확히 해석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한대 경학이라 부름.
  • 董仲舒(기원전179-104)
    • 초기유학의 사상에 대해 처음으로 큰 발전과 개조를 시행하여 한대 신유가학파의 창조자이자 가장 대표성을 띤 사상이론가
    • 사상통일의 중요성을 힘껏 강조
    • 봉건의 [大一統]을 천지의 대의로서 반드시 따라야 하는 법칙으로 간주하고 유가사상으로 중국인의 사상을 통일해야 한다고 주장

08 / 위진 시대의 현학과 삼현

시대적 배경

  • 정치 혼란 / 사회적 동요
  • 유학의 쇠퇴 / 현학의 흥기 및 발전

현학(玄學) – 노장사상을 기초로 함.

  • 우주만물의 원리 탐색
  • 인간 본연의 인성 회복 모색

삼현(三玄)

  • <주역> , <노자>, <장자>

 09 / 중국 중세사상

1) 수당 이래 유학의 신발전

唐代

  • 유학 부흥의 시작
  • 한유와 이고의 불교비판과 유가복귀를 주장

宋代

  • 유학의 발전
  • 이적(夷狄)의 침략
  • 인륜의 강조 필요
  • 북송의 유학자 4인
  • 정이의 유학과 영향

송대 명리학의 특징

  • 한대 경학을 계승한 기초아래 불교와 도가사상을 흡수하여 구성된 새로운 유학체계
  • 대표인물: 宋代의 程氏두 형제, 朱熹와 明代의 王陽明
  • 朱熹는 [心性論], 유가경전 《大學》의 가르침인 [格物]과 [致知]를 따 라야 한다고 주장
  • 王陽明은 [知行合一說]과 [致良知說]을 주장
  • 王陽明은 [知]해야 하고 [行]해야 하며, 天理의 [良知]를 현실의 [知]와 [行]으로 변화시키고, [知]방면에서 노력을 기울여 잘못된 생각을 [歸正]해야 한다고 주장

2) 주희와 왕양명

송대 – 주희(朱熹)

  • 격물치지(格物致知)
  • 사물의 이치 연구

→ 정주학파(程朱學派)

명대 – 왕양명

  • 심즉리(心卽理)
  • 치량지(致良知)
  • 개인 사상의 자유

→ 육왕학파(陸王學派)

10 / 청대의 사상과 학술의 동향

1) 사상

  • 反淸復明운동의 실패
  • 經世致用사상의 흥기
  • 민본주의와 민족주의의 발양

2) 학술

  • 고증학(考證學)의 발전
  • 實事求是정신 ‘
  • 의의: (1) 고적(古籍)으로의 회귀 (2) 경전의 원래의 의미 탐구

청대 이후의 유학

  • 經世致用의 학문을 주장하여 이것이 진정한 학이라고 여김.
  • 진정한 유학은 [六經]을 연구할 때 현실을 고려하여 修己治人의 실학을 하는 것이라고 여김.
  • 1840년 아편전쟁 이후 중국은 반식민지 반봉건사회로 전락하였고, 자본 주의와 민주사상이 끊임없이 증가
  • 봉건통치 질서와 봉건논리도덕을 보호하는 공맹지도, 한대경학, 송명리 학이 나날이 그들의 보수성과 반동성을 드러내어 사회의 진보를 방해하 는 장애가 되어 가차없이 비판 받음.
  • 현재 유가사상에 대한 중국인의 태도는 實事求是이자 一分爲二

11 / 지식인의 흥기와 발전

1) 지식인의 정의

  • 문화 가치 창조/보존/발전
  • 각 시대의 학술사상 창조
  • 가정/나라/천하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

2) 중국 지식인의 사상과 행동의 특징

  • 경세 정신
  • 비판 의식

3) 고대 지식인

  • 형성시기: 춘추전국시대 – 사(士)
  • 지식계층 형성 요인
    • 1) 사회정치적 요인
      • 봉건제도의 쇠약
      • 유동적 신분으로의 전환
    • 2) 문화적 요인: 왕관지학 → 제자백가
  • 대표적 인물: 공자
  • 고대 지식인 사(士)의 정치사상
  • 유가의 지식인
    • 도통(道統) > 정통(政統)
    • 인(仁) 의 정치
  • 특징: – 직하학(稷下學)의 성행 – 양현지풍(良賢之風)의 제도화 – 정치비평의 자유

1) 진한(秦漢)의 지식인

지식인의 정치참여 및 지식인의 집단 형성

시대적 배경

  • 秦漢시대의 통일 국면
  • 秦대의 박사(博士) 설립
  • 漢武帝의 유술독존(儒術獨尊)

한나라 지식인의 성취

  • 국정에 참여
  • 지식인 집단의 단결 강화
  • 경전연구로 유학의 성행

2) 위진(魏晉)부터 당대(唐代)까지의 지식인

위진남북조 시대 지식인

  • 당고지화(黨錮之禍) 에 따른 지식인의 변화
    • 사상: 사회 질서 → 개인의 안신입명(安身立命)
    • 생활: 관료 조직 → 세가대족의 문벌
    • 지식인의 집단의식 강화
    • 청담(淸談)의 생활방식
  • 예학(禮學)의 갱신 – 감정과 예법의 대립 해결

수당시대의 지식인

  • 과거제도 → 사풍(士風)의 부패
  • 불문제자 – 중국 문화와 불교의 융합

3) 송대부터 청대까지의 지식인

송대 지식인

  • 1 유학의 전통 재건
  • 2  새로운 정신
    • 정치개혁운동 – 왕안석의 변법운동 신유학운동 – 주희에서 집대성

원대 지식인의 2가지 양상

  • 反몽고정부 : 산림에 은거 2
  • 벼슬하며 정주지학(程朱之學) 전파

명청시대의 지식인 : 항거정신과 경세이상 유지

  • 1 서원(書院)에서의 강학
  • 2 청말 결사(結社)운동

 

Chinese Culture (Novel)

경희사이버대학교 배재석교수님 강의 내용 정리

중국 소설

01 / 중국 소설의 기원 : 신화, 우언, 사전

신화(神話)

  • 주나라 개국 당시에 유행하던 종교적인 상황에서 형성
  • 강한 현실성과 아름다운 낭만성
  • 주로 [산해경], [초사], [회남자]에 실려 전해짐.
  • 후대에 소설 및 기타 문학에 영향
  • 예가 10개의 태양을 쏘다

우언(寓言)

  • 춘추전국시대 諸子들의 百家爭鳴
  • 제자들은 설득력 강화 수단으로 우언을 사용 여러 비유를 사용한 간단한 이야기를 통하여 이치를 밝힘. 고사성, 허구성, 단편성, 철리성 신화는 비자각적 허구이지만, 우언은 자각적 허구 [장자], [한비자], [전국책] 등

사전(史傳)

  • 역사기록 가운데 전기 부분을 지칭
  • 사마천 [사기]의 열전부분은 역사를 뛰어넘는 풍부한 문학성을 지님.

02 / 문언 단편소설의 최고봉 [요재지이]

  • 소설(小說) : [장자·외물편]에 처음 등장
  • 위진남북조 : 지괴소설(신선, 귀신, 산천지리, 불교관련 고사) 지인소설(상류층 인물의 언행과 일화)
  • 당대 : 전기(傳奇: 기이한 일을 기록해 전한다는 뜻) [앵앵전]
  • 명대 : 문언소설( 고금의 기이한 이야기와 남녀관계, 괴기사건) 구우 [전등신화(剪燈新話)]
  • 청대 : 문언 단편소설의 최대의 수확기 포송령의 [요재지이(聊齎志異)] 는 강한 비판정신을 담아 사상적, 예술적으로 뛰어난 성과를 거둠.
  • 송대 : 백화소설의 모태인 화본소설 등장 화본은 전문적인 이야기꾼(설화인)의 대본이란 뜻 불교포교를 주요 목적으로 한 당대의 변문 (變文)으로 된 강창 문학에 뿌리를 둠.
  • 명청대 : 백화소설의 전성기
    • 육대기서: 명대 – 삼국지연의, 수호전, 서유기, 금병매 / 청대 – 유림외사, 홍루몽

03 / 백화 장편소설의 여섯 별 육대기서

삼국지(三國志)

  • 작자 : 나관중
  • 진수의 [삼국지]와 배송지의 주에 바탕, [전상삼국지평화]를 모태로 함.
  • 유비,관우,장비 삼형제의 우정과 제갈량, 주유, 사마의의 책략 등 위•촉•오 삼국의 분열과 쟁패
  • 개성적인 인물의 전형 창출. 과장, 대비, 심리묘사가 뛰어남

03 / 백화 장편소설의 여섯 별 육대기서

수호전(水滸傳)

  • 작자: 시내암
  • 송강의 반란을 기록한 [송사]에 바탕을 두고 [대송선화유사]를 모태로 함.
  • 제천행도(하늘을 대신하여 정의를 실현 함)를 기치로 걸고 천하의 108영웅이 양 산박에 모여 활약한다는 내용
  • 세련된 백화로 인물의 개성을 표현. 나라가 핍박하면 백성이 반란을 일으킨 다는 민중의 의지를 잘 반영

서유기(西遊記)

  • 작자 : 오승은
  • 당나라의 고승 현장이 인도로 불경을 가지러 가는 동안 겪은 일을 기록한 [대자은삼장법사전]과 현장의 기행문은 [대당서역기]에 바탕, [대당삼장취경시화]를 모태로 함.
  • 삼장법사와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이 요괴들과 수많은 싸움을 거 치며 천축으로 불경을 가지러 간다는 내용
  • 기이한 환상과 풍부한 상상력으로 낭만주의적 특색 인물의 개성 이 뚜렷. 신랄한 풍자

금병매(金甁梅)

  • 작자 : 미상(난릉의 소소생으로 알려짐)
  •  [수호전]의 23회-27회에 나오는 ‘무송이 형수를 죽이는 대목’을 바탕으로 확대, 개편한 것
  • 관료이자 상인인 서문경과 그의 첩 반금련, 이병아, 방춘매가 펼 치는 음탕한 가정생활을 통해 당시의 사회상 조명
  • 인물의 성격묘사와 전형성이 탁월. 암암리에 실제현실을 폭로하 는 비판 정신 대담한 색정묘사를 통해 예술적으로 성공

유림외사(儒林外史)

  • 작자 : 오경재(1701-1754)
  • 과거제도의 폐단과 부패에 대한 폭로를 중심으로 봉건 사대부들의 추악한 면모와 당시의 악습을 풍자
  • 주인공이나 통일된 줄거리가 없음.
  • 중국 고대의 풍자예술의 전통을 계승하여 중국 문학사상 가장 뛰어난 장편 풍자소설로 평가

홍루몽(紅樓夢)

  • 작자 : 조설근(1715?-1763?)
  • 봉건 대지주 집안인 가부(가씨집안)의 몰락과정을 통해 주인공 가보옥과 임대옥, 설보차 등 금릉 12차의 사랑과 비극을 묘사
  • 중국소설사상 최고의 걸작
  • 일상에 대한 세심한 관찰로 사실묘사, 심리묘사, 언어구사 등이 탁월함.

04 / 중국 희곡의 세계

  • 중국 희곡의 기원 – 선진시대에 무격(무당)이 제사드릴 때 추던 원시가무에서 시작
  • 한대 – 가무희, 골계희 등 백희(百戱) 성행, 전문배우등장
  • 위진남북조 – 서역음악의 전래로 가무희가 특히 성행
  • 당대 – 가무희가 더욱 발전
  • 남송대 – 중국 희곡의 출발인 희문(戱文) 등장
  • 원대 – 중국 희곡의 본격적인 발전인 잡극(雜劇) 등장 솔직하고 현실적. 북방의 구어와 이민족언어 혼용 대표작가 : 관한경([두아원], [구풍진], [배월정] 등)
  • 명대 – 잡극을 대신하는 형식으로 전기(傳奇) 등장. 원대의 잡극보다 여러 면에서 자유로움.
  • 곤강의 흥성 – 위량보가 남곡과 북곡의 장점을 흡수하고 기존의 곤산강을 개량하여 전기의 곡조를 곤강으로 통일, 300년간 독보적 지위
  • 청대 중엽 – 지방의 토속곡조를 쓰는 지방희인 화부희 등장
  • 청대 후기 – 경극(京劇)의 등장 여러 지방의 곡조가 융합 되어 북경으로 도입된 후, 여러 곡조(강조)의 장점을 흡수, 발전시켜 북경의 극단을 제압.
  • 경극은 후대 매란방 등 명배우의 활약에 힘입어 중국 희곡의 대표적 존재로 지금까지도 공연되고 있음.
경극(京劇)

경극(京劇)

05 / 중국의 현대문학

1) 중국현대문학의 성격과 범위, 시기구분

  • 제1기(성장기: 1917~1927)  문학혁명부터 북벌 완수까지
  • 제2기(성숙기: 1927~1937) 남경정부 수립 이후부터 항일 전쟁 발발까지
  • 제3기(침체기: 1937~1949) 항일전쟁 시작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되기까지

2) 성장기- 현대문학의 탄생과 성장

2-1) 문학혁명의 과정

  • 自主的而非奴隸的(자주적이어야 하고, 노예적이어서는 안된다.)
  • 進步的而非保守的(진보적이어야 하고, 보수적이어서는 안된다.)
  • 進取的而非退隱的(진취적이어야 하고, 퇴영적이어서는 안된다.)
  • 世界的而非鎖國的(세계적이어야 하고, 쇄국적이어서는 안된다.)
  • 實利的而非虛文的(실리적이어야 하고, 허식적이어서는 안된다.)
  • 科學的而非想象的(과학적어어야 하고, 공상적이어서는 안된다.)

2-2) 중국의 신문학 운동은 처음 호적, 진독수 등 소수 북경대학 교수들에 의해 전개

  • 一曰言之有物(말에는 내용이 있어야 한다.)
  • 二曰不摹仿古人(옛 사람을 모방하지 않는다.)
  • 三曰須講求文法(반드시 문법에 맞추어야 한다.)
  • 四曰不做無病之呻吟(병이 없으면서 신음하는 짓은 하지 않는다.)
  • 五曰務去爛調套語(진부한 상투어는 버리도록 힘쓴다.)
  • 六曰不用典(전고를 쓰지 않는다.)
  • 七曰不講對仗(대구를 지으려고 애쓰지 않는다.)
  • 八曰不避俗字俗語(속자, 속어를 피하지 않는다.)

2-3) 문학혁명의 의의: 5.4문학 혁명은 봉건 구문학과 문언문의 질곡을 깨뜨리고,백화문에 현대적 의식․현대적 내용 및 참신한 형식을 갖춘 신문학을 창조

2-4) 신문학 운동: 5.4운동을 주도했던 북경대학의 학생과 교수들은 문화혁명의 주역으로 뿐만이 아니라 문학혁명의 주역으로도 부상되었다.

2-5) 작품내용

  • 소설 : 이 시기에는 주로 문제소설이나 민속과 풍습을 서술한 향토 소설
  • 산문 : 이 시기에는 사회비판의 잡문과 소품문등이 쓰였음
  • 시 : 중국의 고전시는 청나라 말기에 이르러서는 사회변화에 따르지 못하였고 초기의 신시 작가들은 구시의 영향을 받아왔기 때문에, 비록 백화로 시를 썼으나 고시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습작 수준에 지나지 않음.
  • 희극 : 이 시기에는 연극운동이 활발해지며 희극학교의 설립이 이루어짐.

3) 현대문학의 성숙기

3-1) 시기:  이 시기의 문학은 북벌이 성공한 1927년부터 항일전쟁이 시작된 1937 년 7월까지의 약10년간의 문학을 가리킴.

3-2) 혁명문학운동: 혁명문학이 무산계급 혁명문학으로 중국 문단에 본격적으로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1928년 초 창조사 제3기와 태양사가 혁명문학의 슬로건을 들고 나오면서부터임.

3-3) 태양사의 혁명문학: 이들은 무산계급혁명문학을 표방했는데 이들은 당시 이미 공산당에 가입한 정치문인들로, 처음부터 문학을 혁명의 무기로 간주

3-4) 문예투쟁: 태양사와 창조사 제3기는 모두 혁명문학을 지향하는 문학 단체이나, 두 단체간의 기본 사상은 판이하게 달라, 서로 혁명문학의 이론과 정통성을 놓고 치열한 이념논쟁

3-5) 좌익작가연맹의 탄생: 1930년 2월 16일 魯迅, 鄭伯奇, 蔣光慈등 12인이 집회를 가지고 혁명 문학이 제창된 이래의 성과를 총괄

3-6) 문학적 특징

  • 장편소설의 출현 – 소설의 발전이 급격하게 일어남. 서양에서 들어온 창작기법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 단편은 물론 우수한 중. 장편의 현대소설이 쏟아져 나옴.
  • 산문 : 잡문과 소품문, 보고문학 등이 나타남.
  • 다양한 시가 창작 : 신월시파, 현대시파, 중국시가회파 그리고 독립시인으로 나뉨.

4) 현대문학의 침체기

4-1) 시기: 이 시기는 중‧일 전쟁에서 중화인민공국 수립까지의 시기로 일반적으로 항일전쟁시기

4-2) 발전내용: 서정적 산문보다는 서사성과 전투임무를 띤 보고문학의 흥성이라는 결과를 낳게 됨.

4-3) 소설: 항일전쟁 초기에 많은 단편소설들이 발표

4-4) 시: 항일전쟁 초기에는 단시들이 많이 출현 그 중에서도 낭송시와 벽시가 성황을 이룸.

06 / 중국문학사 정리

선진대 (先秦代:?∼BC 221 )

공자가 시 3,000 중에서 300여 편을 골라 편집한 것이 《시경》이 며, 그 대부분은 고대 북방가요의 모습을 전하며, 사랑·결혼·전쟁·연 유(宴遊)·왕조찬가 등 그 제재(題材)는 각양각색이지만, 작자의 대부 분은 분명치 않다. 이보다 조금 늦은 BC 300년경 《초사(楚辭)》는 남쪽에서 일어났으며, 그 대표작인 《이소(離騷)》는 초나라에서 추 방된 굴원(屈原)이 강남의 광야를 헤매면서 노래한 격정의 문학이다. 그 밖에 《구가(九歌)》《구장(九章)》《천문(天問)》등이 알려 졌으며, 신화와 공상, 남국의 자연과 비유에 그 특색이 있다. 이 무렵 에는 여러 나라의 자유 토구(討究)의 풍조에 촉구되어 제자백가(諸子 百家)가 등장하였으며, 사상가들의 산문이 꽃을 피웠다.

진한대 (秦漢代:BC 221∼AD 220)

문학에서는 ‘부(賦)’가 성행하였다. 이는 《초사》계통에 속하는 것 으로 서정시에서 서사시로 성격을 바꾸고, 궁전의 장려함과 도시의 번영을 노래하였다. 무제(武帝)는 궁중에 악부(樂府)를 설치하고 각 지방의 민요를 모아 연주케 하였다. 이 시대에는 처음으로 체계적인 역사서 《사기(史記)》130권(BC 1세기)이 만들어졌다. 한편, 고대의 《시경》은 사언(四言:1구가 4문 자)의 시였는데, 한대에는 오언(五言)의 시형이 생겼다. ‘고시십구수 (古詩十九首)’는 후한(後漢)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삼국·위·진·남북조대 (220∼589)

청담(淸談)이 유행하여 위나라의 완적(阮籍) 등 죽림칠현(竹林七賢) 이 유명하다. 진말(晉末)의 도연명(陶淵明)의 전원시는 밝고 건강하 며, 사령운(謝靈運)의 산수시(山水詩)도 특색이 있다. 또한 육기(陸 機)·육운(陸雲) 형제는 부(賦)의 기교를 써서 변려문을 만들어 명성을 얻었다. 문예를 애호하는 이 시대의 풍조에 따라 양나라(6세기)의 소명태자 (昭明太子)의 《문선(文選)》, 시문의 평론서로서 유협의 《문심조룡 (文心雕龍)》과 종영(鍾嶸)의 《시품(詩品)》이 나오는 등 문학감상 의 수준이 보다 향상되었다. 또 심약(深約)의 ‘사성팔병설(四聲八病 說)’ 등 시의 리듬에 관한 이론도 생겨났으며, 격식을 갖춘 당대의 근 체시(近體詩)가 성립하는 기초를 다졌다.

수·당대 (589∼907)

당대의 시는 오언(五言)과 칠언(七言)의 형식을 완성하였으며, 율시 와 절구에 특색을 나타내어, 시 역사에 금자탑을 세웠다. 당대를 초 당(初唐)·성당(盛唐)·중당(中唐)·만당(晩唐)의 4기로 나눈다. 초당은 율시의 완성에 주력한 준비기에 해당하며, 성당은 이백(李白)·두보(杜 甫)의 2대시인이 대표하는 황금시대였다. 중당의 으뜸가는 시인은 백 거이(白居易:백낙천)이다. 만당의 두목(杜牧) 등이 유명하다. 한편 문장에서는 중당의 한유(韓愈)와 유종원(柳宗元)이 변려문을 배격하고 고문운동을 전개했으며, 송대(宋代)에 이르러 구양 수(歐陽 修)·소순(蘇洵)·소식(蘇軾)·소철(蘇轍)·왕안석(王安石)·증공(曾鞏) 등 의 공명을 얻음으로써 비로소 문단에서의 기반을 확립할 수 있었다. 이 8명을 당송 8대가(唐宋八大家)라 부른다.

송·원대 (907∼1368)

시의 발전으로서 사(詞)라고 하는 새로운 문학형식이 당말부터 생 겨났는데, 사는 오대(五代:907∼960)의 이호(李顥)·이욱(李煜) 등을 거쳐 위치를 확립했으나 송나라의 유영(柳永)이 새 형식을 시도하여 그 작품이 방방곡곡에서 불리었다. 이러한 가곡의 유행은 가극의 성 립을 촉구했으며 원대 잡극(雜劇:元曲)이 완성되었다. 특히 관한경 (關漢卿)의 《두아원(竇娥寃)》, 마치원(馬致遠)의 《한궁추(漢宮 秋)》, 백박(白璞)의 《오동우(梧桐雨)》, 왕실보(王實甫)의 《서상 기(西廂記)》등이 유명하다. 또 송대에는 통속소설이 성행하게 되었 다.

명·청대 (1368∼1912) 1

이들 구어(口語) 통속소설이 결집, 정착한 것은 명대이며, 장편으로 는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수호전(水滸傳)》, 《서유기(西遊 記)》, 《금병매(金甁梅)》등이 있다. 단편으로는 《고금소설(古今小 說:喩世明言)》, 《경세통언(警世通言)》, 《성세항언(醒世恒言)》 각 40편이 출판되었고 이를 삼언(三言)이라고 한다. 또 능몽초(凌初) 는 《박안경기(拍案驚奇)》초각(初刻)·이각(二刻) 각 40편을 출판하 였고, 이를 이박(二拍)이라 한다. 장편소설은 청대 오경재(吳敬梓)의 《유림외사(儒林外史)》, 조설근 (曹雪芹)의 《홍루몽(紅樓夢)》에 이르러 완성단계에 달하였다. 그 밖에 문강(文康)의 《아녀영웅전(兒女英雄傳)》, 명대 구우(瞿佑:15 세기)의 《전등신화(剪燈新話)》는 문어로 된 소설이며, 이를 잇는 청대 17세기의 포송령(蒲松齡)의 《요재지이(聊齋志異)》로 문어소 설의 특색을 발휘하였다.

명·청대 (1368∼1912) 2

명대의 희곡은 북방계의 원잡극(元雜劇:원곡) 대신 남방계의 희문 (戱文)이 성행하여 남곡(南曲)·전기(傳奇) 등으로 불리었다. 명나라 탕현조(湯顯祖)의 《옥명당사몽(玉茗堂四夢)》에 이어 청나라 홍승 (洪昇)의 《장생전(長生殿)》, 공상임(孔尙任)의 《도화선(桃花扇)》 이 유명하다. 산문으로는 명대에 문인중심의 복고주의가 창도되었으 나 그다지 특색이 없었으며, 청대의 고문으로는 동성파(桐城派)가 오 랜 생명을 유지하였다. 명·청대의 산문은 수필·기행문·서간문 등에 재미있는 것이 많은데, 이는 표현과 내용면에서 섬세한 맛이 더해졌 기 때문일 것이다.